[화물연대 총파업]철강·조선 "예고된 파업…사전 출하 물량 이미 확대"

기사등록 2021/11/25 11:02:49

최종수정 2021/11/25 13:07:43

25일 0시부터 사흘간 파업…단기간 파업 '영향 미미'

수출항만 막을 경우 차질 불가피…장기화 역시 우려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5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한 25일 오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인근 주차장에 운행을 멈춘 대형 화물차가 줄 지어 서 있다. 화물연대는 오는 27일까지 사흘 동안 총파업을 벌이며, 부산에서도 조합원 1000여명, 화물차량 700여 대가 운행을 멈추고 파업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2021.11.25. yulnet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5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한 25일 오전 부산 남구 신선대부두 인근 주차장에 운행을 멈춘 대형 화물차가 줄 지어 서 있다. 화물연대는 오는 27일까지 사흘 동안 총파업을 벌이며, 부산에서도 조합원 1000여명, 화물차량 700여 대가 운행을 멈추고 파업에 동참한다고 밝혔다. 2021.11.2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25일 0시부터 사흘간 파업에 돌입했다. 산업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예고된 파업이라 사전 출고 확대 등으로 대비를 했기때문에 당장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파업이 장기화되면 원자재를 공급받는 일부 공장에선 문제가 생길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화물연대가 수출항만에 진입하려는 차량을 막으려는 움직임도 있어 이 경우 수출에도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화물연대는 25일 0시부터 3일간 전국 16개 지역본부별 거점에서 총파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에 가입한 2만5000대의 차량은 오늘부터 운행을 멈췄다.

화물차를 통해 철강재 등을 운송하는 철강업계는 출하 확대 등 사전에 대비를 해 왔기에 당장 큰 영향은 없다는 입장이다.

A철강사 관계자는 "화물연대 파업이 공지돼 있어 파업을 대비해 공장 재고를 최소화해 왔다"며 "파업 전부터 사전 출하를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파업 기간에는 공장별로 출하팀과 영업팀이 공조해 긴급 물량을 선출하 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B철강사 관계자 또한 "고객사의 긴급재를 사전에 출하했다"며 "해양과 철도 등으로 운송을 전환해 출하하는 방식으로 파업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운송사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 및 협의해 파업기간 중에도 고객사의 긴급재 등 일부물량에 대해서 긴급운송을 진행하는 것을 협의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원자재를 공급받아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사들 역시 당장은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국내 한 조선소 관계자는 "선박 건조라는게 스케줄이 다 짜여져 있기 때문에 이에 맞는 재고를 확보해 두고 있다"며 "단기간 화물연대 파업으로 자재 수급이 어렵거나 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이들의 파업이 장기화가 될 경우 일부 공장에선 원자재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C철강사 관계자는 "현재 겨울 비수기고 단기간 파업이라 사실상 영향은 거의 없다"면서도 "이들이 한차례 더 파업을 한다거나 해 장기화 양상으로 가면 제품 출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물류대란을 떠나 이들이 수출항만을 막으려는 움직임 때문에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해운업계 한 관계자는 "수출항만에서도 일찍이 물량을 확보해둬서 당장 문제가 되진 않는다"면서도 "화물연대가 수출항으로 들어오는 차량을 막으려는 움직임이 있다. 차량을 막을 경우에는 수출에 일부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화물연대는 25일 오전 10시 지역본부별 거점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진행하고, 27일에는 한 곳에 집결해 정부·여당 규탄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이들은 ▲안전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운임 전차종·전품목 확대 ▲생존권 쟁취를 위한 운임 인상 ▲산재보험 전면 적용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쟁취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정책대안 마련과 국회 계류 법안 통과를 촉구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