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영화 '호흡' 포스터(사진=한국영화 아카데미 제공) 2019.12.15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지윤 기자 = 윤지혜가 영화 '호흡'(감독 권만기)을 비판했다.
윤지혜는 14일 인스타그램에 "이 작품은 보통의 영화처럼 제작된게 아니라 한국영화 아카데미, kafa라는 감독, 촬영감독 교육기관에서 만든 졸업작품 형식으로 제작비는 7000만원대였다. 감독이 다 알아서 해야 하는 구조로 소위 도와준다는 개념의 나머지 외부 스탭들이 붙는다. PD 또한 그런 개념으로 붙었고 몇 명은 알바 아닌 알바로 오고 싶을 때 왔다"며 "이 기관에서 만든 작품들 중 꽤 좋게 본 영화가 있었기에 연기 자체에만 몰두하고 싶었다. 감독에게 이런 시나리오를 써줘서 고맙다고 큰절도 했다"고 적었다.
"한달간 밤낮으로 찍었다. 촬영 3회차 쯤 되던 때 진행이 너무 이상하다고 느꼈고 상식 밖의 문제들을 서서히 체험하게 됐다. 컷을 안하고 모니터 감상만하던 감독 때문에 안전이 전혀 확보되지 않은 주행중인 차에서 도로로 하차애햐 했고, 요란한 경적소리를 내며 피해가는 택시는 나를 미친년이라고 생각했을거다. 지하철에서 도둑촬영하다 쫓겨났을 때 학생 영화라고 변병 후 정처없이 여기저기 도망다니며 이것 또한 재밌는 추억이 될듯 머쓱하게 서로 눈치만 보며 멀뚱거리던 그들의 모습을 기억한다."
19일 개봉예정인 '호흡'은 아이를 납치했던 '정주'(윤지혜)와 납치된 그날 이후 인생이 송두리째 무너져버린 '민구'(김대건)가 12년만에 다시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제23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뉴커런츠상, KTH상 2관왕에 올랐으며, 제3회 마카오 국제영화제 최우수 작품상을 받았다.
윤지혜는 "개봉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도 동요하지 않으려 했고 스스로 '더 좋은 작품하면 돼'라고 다잡으며 버티고 있었다. 어제 마케팅에 사용된 영화와 전혀 무관한 사진들을 보고 다시 한번 뒷통수를 맞은 기분이 들었다. 대체 누구 눈에 밝은 현장 분위기였는지 되묻고 싶다. 현장에서 웃고 찍힌 사진 하나로 내가 겪은 모든 고통이 괜찮아질 것 같느냐. 걸작이라는 문구는 대체 누구의 생각인가. 상 몇개 받으면 걸작인가?"라고 되물었다.
"이 영화는 불행 포르노 그 자체다. 결과만 좋으면 좋은 영화인가. 이 영화의 주인 행세를 하는 그들은 명작, 걸작, 수상한, 묵직한 이런 표현 쓸 자격조차 없다. 알량한 마케팅에 2차 농락도 당하기 싫다. 애정을 가지고 참여한 작품에 너무 가혹한 상처들이 남았고 내가 느낀 실체를 호소하고 싶고 다른 배우들에게도 kafa와의 작업의 문제점을 경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내가 스스로 선택했고 돈을 다 떠나 본질에 가까워지는 미니멀한 작업이 하고 싶었다. 이 정도로 초저예산으로 된 작업은 처음이었으며 초심자들에게 뭔가를 느끼고 오히려 열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지 않을까 큰 착각을 했다."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이호현 산업부 무역정책관이 29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과 일본 통상당국은 12월 셋째 주 중 일본 도쿄에서 제7차 수출관리정책대화를 개최하며 이에 앞서 다음달 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국장급 준비회의도 열린다"고 밝히고 있다. 2019.11.29.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이재준 기자 = 일본 정부는 16일 열리는 한일 국장급 수출관리 정책 대화에서 한국 측의 노력에 관한 설명을 듣고 수출 규제의 완화 가능성을 신중히 판단할 방침이라고 지지(時事) 통신이 15일 보도했다.
통신은 3년 반만에 도쿄 경제산업성에서 개최하는 국장급 수출관리 정책 대화가 일본이 한국에 대해 발동한 수출 규제로 인한 사태의 타개를 모색한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양국 관계 악화를 배경으로 2016년 여름 이래 중단한 정책 대화는 오는 24일 중국 청두(成都)에서 가질 예정인 한일 정상회의를 겨냥해 관계 개선의 길을 보여줄지가 기대된다고 통신은 지적했다.
정책 대화에는 이호현 산업부 무역정책관과 이다 요이치(飯田 陽一) 일본 경제산업성 무역관리부장이 각각 양국의 수석대표로 참석한다.
통신은 한국의 무역관리 체제가 불충분하다며 일부 품목의 군사전용을 우려한 일본이 이와 관련한 우리 조치에 관한 설명을 듣고서 수출 규제조치의 완화를 검토하게 될 것으로 관측했다.
가지야마 히로시(梶山弘志) 일본 경제산업상은 지난 13일 기자회견에서 "대화를 거듭하면서 문제가 해소되면 좋은 방향으로 나갈 수 있다"며 이번 정책 대화를 계기로 대한 수출규제가 풀릴 수 있음을 내비쳤다.
일본 정부는 7월 이해 한국의 반도체 핵심재료 3개 품목의 수출허가를 강화하고 수출절차 우대 대상국(화이트 리스트국)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조치를 취했다.
한국은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판결 등에 대한 보복이라고 강력히 반발하다가 미국의 중개 등으로 태도를 완화하면서 한일이 정책 대화를 재개하기로 11월 합의했다고 통신은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