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정부 자본시장정책 진단③]"코스닥 활성화 위해선 親기업 정책 필요"

기사등록 2019/01/23 05:00:00

코스닥벤처·스케일업펀드 한계 지적

"유동성 공급 통한 직접 개입 우려"

"우량 코스닥사 키울 토양 마련에 신경써야"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최종구(오른쪽 두번째)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지난해 1월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은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2018.01.09.pak7130@newsis.com
【서울=뉴시스】박진희 기자 = 최종구(오른쪽 두번째)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지난해 1월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코스닥 시장 활성화를 위한 현장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은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정호 기자 = 증권업계는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보다 친기업적인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정부 주도의 유동성 공급이 지닌 맹점을 지적, 직접 개입보다는 코스닥사가 성장할 토대를 마련하는 데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지수는 지난해 1월29일(927.05) 이후 이달 18일(696.34)까지 14% 넘게 하락했다.

코스닥은 정부의 활성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대내외 악재에 힘을 쓰지 못했다. 지난해 초까지 승승장구하던 지수는 신흥국 증시 급락에 따른 외국인 매도세와 기관의 중소형주 매도 심화, 바이오주 약세 영향 등에 하락했다.

증시환경이 악화한 게 주요인이지만, 증권업계는 정부가 내놓은 정책에서도 아쉬운 점을 얘기한다.

지난해 1월 정부가 발표한 코스닥 시장 활성화의 주요 골자는 ▲세제혜택·지수개발 등을 통한 기관투자자 참여유인 강화 ▲3000억원 규모의 펀드 조성 ▲상장 요건 대폭 완화 ▲코스닥 시장 자율성 강화 등이다. 

이 같은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 뒤 정부는 코스닥벤처펀드를 새롭게 도입하고 KRX300 지수 등을 통한 자금 유입을 유도했다. 하지만 펀드 출시나 지수 개발은 '투자자금으로 증시를 부양한다'는 발상이기 때문에 오히려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비판이 적지 않았다.

특히 코스닥벤처펀드의 경우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메자닌 발행이 과도했던 탓에 주식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량부담 등 후폭풍이 우려된다. 메자닌 투자 과열에 따른 부실화도 문제다.

뉴시스가 2019년도 기해년을 맞이해 국내 증권사 17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 증권사들이 코스닥활성화를 위해 친 기업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나타냈다.

A증권사 관계자는 "이미 3조원가량의 자금이 코스닥벤처펀드를 통해 메자닌으로 들어갔으나 코스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며 "지난해 10월 결성된 코스닥스케일업펀드도 기존 저평가된 코스닥 종목이 아닌 기업의 유상증자 등 신규 자금 조달에 집중했다"고 지적했다.

B증권사 관계자도 "코스닥스케일업펀드 규모(3000억원)를 보면 코스닥 시장규모를 감안할 때 증시 부양 효과를 기대하긴 힘들다"며 "아무 것도 안 하는 것보다는 나았지만 설정액을 연내(지난해)에 채우지 못한 점도 아쉬웠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지난해 4월5일 서울 마포구 IBK창공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코스닥 벤처펀드' 출시 행사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온라인 쇼핑몰 창업 시연을 하고 있다. 2018.04.05. mangusta@newsis.com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지난해 4월5일 서울 마포구 IBK창공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코스닥 벤처펀드' 출시 행사에서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온라인 쇼핑몰 창업 시연을 하고 있다. 2018.04.05. [email protected]
물론 중립적인 의견도 있었다. C증권사 관계자는 "벤처·스케일업펀드 결성은 무너진 코스닥시장 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였다"고 전했다. 그는 "다만, 코스닥사의 회계투명성 문제 등 투자기업에도 책임이 있었고, 대·중소기업 간 균형적이지 못한 생태계가 근본 원인인 까닭에 단순한 수급환경 개선엔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오히려 펀드 결성 같은 일시적인 유동성 지원 정책을 중단하고, 투명하고 건전한 기업이 시장에서 빛나도록 부실기업 퇴출 정책을 고려해야 한다는 제언도 따랐다.

D증권사 관계자는 "클린화 정책으로 시장 내 자금 수요처의 체질개선을 이끌어내 코스닥시장의 손상된 이미지를 회복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금을 부어 증시에 직접 개입하는 것보단 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통해 장기 관점에서 코스닥을 살리는 게 현명하다는 시각도 있었다.

E증권사 관계자는 "(정부가) 주식시장에 직접 대응하는 것은 자제해야 한다"면서 "코스닥 기업이 활발하게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장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게 선결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혁신기업의 코스닥 상장 경로를 보다 다양화하고 부실기업은 조기에 퇴출하는 것 등 큰 대책이 원활히 실행될 수 있도록 장기적 시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F증권사 관계자는 "근본적으로 기업의 시너지와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면서 "코스닥 우량기업 탄생을 위한 인수·합병(M&A) 지원책도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